정부에서 다양한 부동산 정책을 내놓고는 있지만 수도권에서 내 집 찾기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. 경기도 주택도시공사(GH)에서 무주택자를 위해 내놓은 정책인 경기도 기본 주택 다른 말로는 경기도형 기본 주택이라고 하죠? 경기도 기본 주택 신청 자격 조건 보증금 임대료 등 어떤 분들이 거주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경기도 기본주택이란?
경기도 기본주택 자격 조건은 무주택자면 누구나 아무런 제약 없이 30년 이상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주거 형태. 역세권 등 좋은 위치에 거주 가능.
기존 공공임대 VS 경기도 기본주택
- 기존 공공임대 : 특정계층, 주거취약계층에게 제공하고 운영할수록 적자가 누적되는 구조여서 지속가능성↓ / 상대적으로 안 좋은 지역에 공급
- 경기도 기본주택 : 원가보전을 통한 대량공급 가능한 모델 / 역세권 등 핵심 요지에 공급
경기도 기본주택 입주자격 조건
무주택자라면 누구나!! 역세권 등 좋은 위치에서 30년 이상 거주 가능. 적정 임대료로 평생 주거안정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임대주택
경기도 기본주택 임대료
- 경기도 기본주택 전용면적
- 경기도 기본주택 임대료 보증금
임대주택용지 조성원가를 평당 2천만 원으로 가정하고 동일평형 1천 세대 단지 기준
경기도 기본주택 보증금은 1~2인 가구는 월세의 50배, 3~5인 가구는 월세의 100배로 책정 예상하고 있습니다. 또한 임대료는 중위소득 20% 이내에서 책정.
경기도형 기본주택은 주택수명 100년을 목표로 입주자의 필요에 따라 내부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수명주택으로 건설하고 공급할 예정.
▶여기서, 장수명 주택이란?
기존의 벽식 구조를 기둥식 구조로 변경하는 것으로 세대 내 평면 변경 및 배관 설비 교체가 용이하고, 재건축 횟수를 줄임으로써 철거로 인한 건설폐기물 감소 및 신축에 따른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친환경 주택.
경기도 기본주택 시행 예정시기
- 정부가 적극적으로 협조하여 대량 공급한다면 2025년에서 2026년 입주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.
- 향후 GH공사가 추진하는 3기신도시 핵심요지에 주택공급물량의 최소 50%이상을 기본주택으로 공급할 예정
얼른 경기도 기본주택사업이 시행되어 무주택자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희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광교중앙역에 경기도형 기본주택 홍보관도 오픈되었다고 하니 신청 자격 조건, 임대료, 주거모델 등을 직접 확인해보세요~!
댓글